node.js
mysql 테이블 생성시 데이터타입정리
테이블 필드명과 타입을 정해야한다. CREATE TABLE 테이블명( 필드명 타입, 필드명 타입, 필드명 타입, 필드명 타입, 필드명 타입 ); 문자열 데이터 타입 CHAR(n) 고정 길이 데이터 타입(최대 255byte)- 지정된 길이보다 짦은 데이터 입력될 시 나머지 공간 공백으로 채워진다. VARCHAR(n) 가변 길이 데이터 타입(최대 65535byte)- 지정된 길이보다 짦은 데이터 입력될 시 나머지 공간은 채우지 않는다. TINYTEXT(n) 문자열 데이터 타입(최대 255byte) TEXT(n) 문자열 데이터 타입(최대 65535byte) MEDIUMTEXT(n) 문자열 데이터 타입(최대 16777215byte) LONGTEXT(n) 문자열 데이터 타입(최대 4294967295byte) 숫자..
mysql 쌓인 커넥션 강제로 끄는법
mysql 쓰면서 작동된 커넥션들을 끄지않고 냅두다가 쌓인 커넥션들을 강제로 종료하는 방법을 알아야할것 같아쓰고있다 메모리를 잡아먹고 컴퓨터의 성능저하를 일으키기때문이다. show processlist; kill id값을 하면 강제로 끌수있게된다.

DB (mysql) 설치 버전확인 까지
목차 - DB 란 - DBMS - 설치 - 버전 확인 - SQL 구문 DB란? 한 조직에서 관리되는 데이터 집합 즉 여러사람이 데이터를 공유하며 사용될 목적으로 관리되는 데이터 집합이다.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데이터들을 공유하고 운영하기위해 저장해 놓은 공간이다. 지금까지 하면서 만든 데이터들은 하드디스크가 아닌 메모리로 서버가 작동하게 되어 컴퓨터를 끄거나 서버를 종료하거나 프로그램을 종료하게되면 데이터베이스가 전부 없어지거나 날라가게 되어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위해 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에 넣고 보관하는 방법으로 사용한다. DBMS DBMS를 짧게 이야기 하면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소프트웨어를 DBMS라고 한다.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되어있는 DB를 여러사용자나 프로그램과 공유하고 동시에 ..

get 과 post에 대해 더 자세히 그리고 변수를 보내 보자
백앤드를 만드는데 결국 백앤드도 화면이라는 게 필요하고 내가 만든 라우터가 기능을 테스트하려면 화면이란 게 필요할 때가 있다 post일 경우 브라우저가 바뀔 때마다 요청하는 건 url이다. get 요청과 응답의 텍스트 그리고 get의 변수 req 변수를 보기위한 기본 express서버를 작성하고 get요청에 변수를 보내본다. 서버에게 일을 처리할수있게 처리해야 한다 확인하는 부분을 app.get('/', (req, res)=>{ res.send('hello server') }) 이렇게 작성한다. req안에 내용은 요청 텍스트를 정리해준 객체가 req이다. req.headers를 console.log()로 작성하면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

GET과 POST의 차이 그리고 활용
목차 -get -post -차이점 get은 가져오고 post는 수행한다. get get 메서드는 어떠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때 url 뒤에 ? 를 붙이고 그뒤에 데이터를 기술해서 서버쪽으로 전송하는방식 url 상에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가 포함되어있다. 서버에서 어떤 값이나 내용,상태 등 데이터를 바꾸지 않을 경우에 사용한다. 데이터를 읽거나 검색할때 사용되는 메서드이고 내용이 노출되어있어 민감한 데이터를 다룰때 get 요청을 사용하면 안된다. get은 서버에서 어떤 데이터를 가져와 보여주는 용도이다. 서버의 값이나 상태등을 바꾸지 않는다. www.localhost:3000/login?id=asdf&pw=1234 이런식으로 주소창에 그대로 개인정보가 남아있기 때문에 개인정보가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po..

node.js express req,res(요청과 응답)
express란 express는 node.js를 위한 웹 프레임워크이다 프레임워크는 간단하게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기본 틀정도 라고 생각하면 될것같다. express를 사용 하기위해서npm을 설치해야하며 활용도는 서버와 미들웨어 라우팅을 돕는것이다. express 작동 방법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app.get('/',(req,res)=>{ res.send('hello'}) app.listen(3000,()=>{ console.log('server start') }) 간단히 express 라이브러리 모듈을 require 로 가져와서 express 모듈을 app 으로 만들어 app.get app.listen이라는 코드를 작성할..

Node.js express 웹 서버 작동하여 브라우저에 출력
목차 첫 시작 코드작성 결과 첫 시작 처음 터미널에서 경로 설정후 vscode에서 npm install express //node_modules npm init //packge.json 위 사진처럼 작성후 npm 과 express 파일과 모듈을 다운로드 한다. 코드작성 server.js 파일을 생성후 const express = require ('express') const app = express() 작성을한다. const express = require ('express') 간단히 require는 무엇인가 node_modules 에 있는 express 폴더안에있는 코드를 가져오는것이다. const app = express() app 이라는 코드는 express의 내용을 가지고있다. app에 있는 내용..

node.js에 대해서
목차 node.js이란 node.js의 역할 node.js 작동 방식 npm 이란 Node.js란 Node.js는 구글 크롬의 자바스크립트 엔진 v8에 빌드된 이벤트 기반 자바스크립트 *런타임 이다. node.js는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JavaScript 런타임일 뿐 그것 뿐이다. 런타임이란 특정 언어로 만든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이다. 노드는 자바스크립트 프로그램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게 해준다. 자바스크립트를 실행 시켜주는 역할이다. 말그대로 node.js는 이벤트 기반 자바스크립트 런타임이다. 공식 홈페이지 에서도 JavaScript 런타임이라고 써있다. node.js 의 역할 node.js는 JavaScript라는 프론트엔드 필수 언어로 백엔드까지 작성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출시이후 ..

Node.js HTTP 쿠키(Cookie)
쿠키는 3가지 목적이 있다 1.세션 로그인 및 장바구니 2.개인화 언어변경 , 테마 3.토큰,트래킹 광고 및 사용자의 행동기록 쿠키의 특징 유효기간이 있다 브라우저를 종료해도 유지가 된다. 서버에 저장 하지않고 브라우저 내부에서 임시적으로 저장한다. 우리가 사이트에 방문하게 되면 브라우저가 서버에 request 를 할텐데 서버는 브라우저의 요청에 response(응답)을 하면서 서버의 데이터와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데 만약 내가 쿠팡과 같은 사이트 에서 물건을 구입하기 위해 장바구니에 넣어두면 임시적으로 브라우저 내부에서 일정 기간동안 쿠키를 이용해 장바구니에 저장이된다.